시스템 설계 면접 가이드 (수정)
시스템 설계 면접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
시스템 설계 면접 가이드 (수정)
시스템 설계 면접 가이드
1. 시스템 설계 면접을 하는 이유
시스템 설계 면접(System Design Interview)
- 모호하고 범위가 넓은 문제(예: “널리 알려진 제품 X를 설계해 보라”)를 다룬다.
- 한 사람이 완벽한 해답을 내놓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 핵심은 문제 해결 과정을 어떻게 이끌어가는가이다.
면접관이 확인하고자 하는 것
- 🤝 협업에 적합한 사람인지
- 💪 압박 속에서도 문제 해결 능력이 있는지
- 🔍 모호한 문제를 건설적으로 풀 수 있는지
- ❓ 좋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지
- ⚖️ Trade-off를 고려하지 않고 Over-engineering에 빠지지 않는지
2. 효과적인 면접을 위한 4단계 접근
| 단계 | 시간 | 목표 |
|---|---|---|
| 1단계 | 3 ~ 10분 |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 |
| 2단계 | 10 ~ 15분 | 개략적 설계안 제시 및 동의 구하기 |
| 3단계 | 10 ~ 25분 | 상세 설계 진행 |
| 4단계 | 3 ~ 5분 | 마무리 및 개선점 논의 |
🔹 1단계: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
- 요구사항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답을 내놓는 것은 큰 마이너스 신호 🚫
- 핵심 기술:
올바른 질문·적절한 가정·정보 수집 - 반드시 화이트보드나 종이에 요구사항을 정리
꼭 물어볼 질문 예시
- 데이터 소스는 어디인가요?
- 예상 사용자 수와 TPS는 얼마나 되나요?
- HA(고가용성), DR(재해 복구) 구성이 필수인가요?
- 수집된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되나요?
-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의 지연 시간(latency) 요구는?
- 특정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해야 하나요?
데이터 처리 고려사항
- 멱등성
- 업데이트 처리
- 정합성 검증 및 문제 해결
- 중복 처리
🔹 2단계: 개략적 설계안 제시 및 동의 구하기
- 최초 청사진 제시 → 면접관 피드백 요청
- 면접관을 팀원처럼 대하라 🤝
- 세부 범위는 면접관 질문 방향에 따라 조절
🔹 3단계: 상세 설계
- 목표와 기능 범위를 명확히 확인
- 설계 청사진을 공유하고 의견 청취
- 짧은 시간 내 집중할 부분 선택
- 성능 → 병목 구간, 자원 요구량
- 기능 → 핵심 컴포넌트 우선순위
❗ 불필요한 세부사항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면접관이 원하는 포인트에 집중해야 한다.
🔹 4단계: 마무리
- 면접관이 추가 질문이나 개선 요청 가능
- “완벽하다”라는 답변은 피하고, 개선 가능성을 항상 열어 두기
- 자신이 제시한 설계를 짧게 요약해 주면 효과적
- 고려할 만한 논의 주제
- 서버·네트워크 장애 등 오류 시나리오
- 모니터링(메트릭, 로그 수집) 전략
- 배포 전략
- 향후 확장성 요구 대응
3. 해야 할 것 ✅
- 질문을 통해 요구사항과 가정을 확인
- 면접관이 사고 과정을 따라올 수 있게 설명
- 여러 해법을 함께 제시
- 중요한 컴포넌트부터 설명
-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대화 유지
4. 하지 말아야 할 것 ❌
- 전형적인 문제에 대비하지 않고 면접장에 들어가지 말라
- 요구사항·가정이 불명확한 상태에서 설계 제시 금지
- 처음부터 특정 컴포넌트 세부사항에 깊게 들어가지 말라
- 진행이 막히면 힌트를 요청하라 (침묵 금지)
- 설계안을 제시했다고 면접이 끝났다고 생각하지 말라
📌 정리
시스템 설계 면접은 정답을 맞히는 시험이 아니라, 문제 해결 과정과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자리다.
좋은 질문, 협업적 태도, 개선 여지를 찾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곧 합격의 열쇠다.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